미국의 기준: 미국도로교통공무원협회(AASHTO, America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 Transportation Officials)에서 발행하는 AASHTO규격
영국의 기준: 영국표준협회(BSI, British Standard Institute)에서 발행하는 BS(British Standard)코드
독일의 기준 : 독일 표준화 협회(DNI: Deutsches Institut f?r Normung e.V.,)에서 발행하는 DIN(Deutsche Industrienorm)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우리나라는 기관별로 각각 운영되던 건설공사기준을 관리하기 위하여 2013년에 국가건설기준센터(https://www.kcsc.re.kr/)를 설립하여 기준들을 통폐합하고 기준간 중복?상충부분을 정비하며, 개정이 용이하도록 설계기준(Korea Design Standard, KDS ○○ ○○ ○○), 표준시방서(Korea Construction Specification, KCS ○○ ○○ ○○) 두 분류로 코드화해 관리하고 있다.
2020년 1월에는 가설흙막이 설계기준 (KDS 21 30 00 : 2020)이 개정되었다.
주요 개정 내용 중 눈여겨 봐야하는 내용은 “가설흙막이의 안전율” 부분이다. 기존에 각 기관별로 상의하게 사용하던 안전율을 표준화 하여 아래 표와 같이 제시하고 있다.
조 건 | 안전율 | 비 고 | ||
지반의 지지력 | 2.0 | 극한지지력에 대하여 | ||
활동 | 1.5 | 활동력(슬라이딩)에 대하여 | ||
전도 | 2.0 | 저항모멘트와 전도모멘트의 비 | ||
사면안정 | 1.1 | 1년 미만 단기안정성 | ||
근입깊이 | 1.2 | 수동 및 주동토압에 의한 모멘트 비 | ||
굴착저부의 안정 | 보일링 | 가설 (단기) | 1.5 | 사질토 대상 단기는 굴착시점을 기준으로 2년 미만임 |
영구 (장기) | 2.0 | |||
히빙 | 1.5 | 점성토 | ||
지반앵커 | 사용기간 2년 미만 | 1.5 | 인발저항에 대한 안전율 | |
사용기간 2년 이상 | 2.5 |
아직은 모든 분야의 내용이 완전히 정리 되지 못해 아쉬운 점이 있지만, 지속적인 개정이 이루어질 예정이며, 가장 최신으로 업데이트되는 시방서는 국가건설기준센터에서 확인할수 있다.
건설기준 또한 선진국이 될 수 있는 우리나라를 기대하며, 앞으로도 보다 발전된 내용을 전달하는 (주)삼우기초기술이 되겠습니다.
국가건설기준센터 : https://www.kcsc.re.kr/
첨부파일 : 국가건설기준센터.JPG 172.05[K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