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탄성 재료의 늘음량은 Hook의 법칙에 근거하여 계산됩니다. 강연선의 늘음량도 마찬가지이며, 자료실에 앵커 늘음량 구하는 자료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acker 는 그라우트 등의 주입재를 삽입?가압하여 천공홀 내에서 팽창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부가적인 장치로, 정착장 전체를 팩커로 처리하여 정착구근의 확장효과를 위한 용도와 정착장과 자유장 경계에서 홀막음 용으로 사용되는 용도로 나뉩니다. 그밖에 그라우트의 유실을 막기위해 그라우트를 주머니에 채우는 개념으로 사용되는데 해외에서는 Grout socks 라고 불립니다. 팩커는 섬유의 재질과 제작품질에 따라 그 효과가 크게 차이가 나므로 적합한 품질의 팩커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착 대상지반의 공극이 형성되어 있거나, 공극으로부터 지하수가 유출되는 경우 가압주입을 하게 되면, 공극의 채움 및 지하수 유입방지 등의 효과를 볼수 있습니다. 정착 대상지반이 공극이나 절리 등의 틈이 없다면 가압의 효과는 미미하므로 정착지반의 특성을 고려하여 경제적인 공사가 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앵커의 설계는 정착장 길이만큼의 그라우트 구근과 지반과의 마찰력으로 앵커력을 발현하는 것으로 설계되므로, 정착장 길이만큼만 그라우트 구근이 형성이 되어도 앵커력 확보에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실제의 지반조건은 공극이 존재하므로 이론상 정착장을 채울만큼의 그라우트 주입량으로 부족한 경우가 발생됩니다. 국내의 경우 그라우트 홀 전체를 주입함으로 지하 공극에 의한 오차를 줄이고, 자유장부의 홀 붕괴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그라우팅이 되고 있습니다.
영구 앵커의 사용 기간과 목적에 따라서 정착부의 재인장 기능의 유무가 결정됩니다. 사면 및 영구옹벽 등 외부에 노출되는 구조물의 유지관리 측면에서 재인장이 가능하도록 정착부를 마감하며, 경우에 따라서 지하차도, 구조물의 부력방지용 앵커등에도 재인장이 가능한 정착장치가 적용됩니다.
인장형 앵커에서는 강선과 그라우트의 부착력으로 강연선에 긴장력을 그라우트에 전달하지만, 압축형 앵커에서는 내하체라는 하중전이체를 이용하여 강연선의 긴장력을 그라우트에 전달합니다. 내하체는 측면의 요철의 부착력과 하부면의 압축력으로 하중을 전이하는데, 부착면적이 적으면 하부에 압축응력이 매우 커지게 되어 그라우트 압축파괴 현상이 발생하여 앵커력 감소의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내하체의 크기는 하중확보에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