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중분산 압축형 인력 제거식 앵커하중분산 압축형 제거앵커로서, 강연선을 인력으로 회전시켜 강연선의 제거 및 재결속이 용이한 공법입니다. 또한, 강연선을 내하체 내부로 관통하게 제작하여 내하체와 그라우트의 부착면적과 그라우트를 압축하는 유효단면적을 최대화시켜, 인장 시 그라우트에 전이되는 앵커력을 극대화시킨 공법으로, 주로 흙막이 가시설 공사에 사용되며, 지하구조물 완료 후 해체시에도 인력으로 제거하므로 최소한의 작업공간 활용 및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공법입니다.
SW-RCD Anchor 특징
1 풍화토 등 비교적 불안정한 지반에서도 하중이 분산 작용되므로 앵커력 확보에 유리
2 설계하중에 따라 강연선의 가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내하체를 조합하여 최대 4,100kN 가능 예) 15.7mm×24가닥 = 6구 내하체 4개 조합
8 인력 제거 방식 도입으로 제거 비용을 최소화, 탁월한 경제성, 장비 제거식 앵커 대비 안정성 확보
9 롤 단위 팩킹으로 운반이 용이하며, 앵커체 장기보관 시에도 유리
10 하중분산형이므로 하중이 분산되어 Creep 발생을 최소화시켜 하중손실이 적음
11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 강연선 교체 및 유지보수 가능
강연선 제거원리
1 강연선을 절단하여 띠장으로부터 강연선을 분리하고 띠장을 제거
2 강연선을 시계방향으로 돌려 웨찌를 오픈
3 오픈 된 웨찌로부터 이탈 된 강연선을 인력으로 제거
업그레이드
- 새롭게 개발된 부식방지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내하체
- 더욱 개선된 부붐 정밀도 및 결합방식
- 뛰어난 강연성 보호 구조 및 그라우트 유입차단 효과
사용 가이드라인
1. P.C강연선을 보호하고 있는 피복호스가 찢어지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할 것, 그라우트가 호스 안으로 유입되어 양생되면 제거가 어려워지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2. 앵커체를 삽입 시 앵커체가 꼬인 상태에서 그라우트가 양생되면 P.C강연선의 회전이 어렵고 제거가 힘들어지게 된다.
3. 앵커 인장 시 하중 · 변위를 정확히 체크하여 과도한 변위가 발생되면 즉시 인장을 멈추도록 할 것, 무리한 인장으로 내하체가 그라우트를 파괴하면 파괴된 그라우트가 호스를 강하게 구속하여 P.C 강연선의 제거가 어려워진다.
4. 강연선제거를 위해 산소절단을 실시할 경우 제거가 가능한 길이, 최소 20cm이상을 남기도록 할 것, 여유장이 너무 짧게 절단이 되면 강연선을 회전시키기 어렵다.
5. 앵커체를 현장 내에서 운반 시 내하체에 흙이나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주의할 것. 내하체 주변 그라우트의 압축강도가 감소되고 인장 시 그라우트가 파괴되면 제거가 힘들어지게 된다.
6. 앵커체 삽입시 천공홀이 붕괴되지 않도록 주의할 것. 정상적인 그라우트 구근의 형성이 어려워 앵커력 확보가 어렵고 제거가 힘들어지게 된다.
SW-RCD Anchor 규격표1.SW-RCD Anchor 하중제원(12.7m)
KS D 7002기준
No.of P.C Strand (Ø=12.7mm)
0.65Tu(kN)
0.8Ty(kN)
설계허용하중Ta(kN)
비고
3
357
375
357
Ta=min(0.65Tu,0.8Ty)
KDS 11 60 00 (국가건설기준센타 : 앵커 설계기준)
극한하중(Tu) = 183kN(1본일 경우)
항복하중(Ty) = 156kN(1본일 경우)
시험 중 긴장하중(Tj)=0.9Ty
제원표 이외의 하중은 별도 협의
4
476
500
476
5
595
624
595
6
714
749
714
7
833
874
833
8
952
999
952
표2.SW-RCD Anchor 하중제원(15.2m)
KS D 7002기준
No.of P.C Strand (Ø=15.2mm)
0.65Tu(kN)
0.8Ty(kN)
설계허용하중Ta(kN)
비고
3
509
533
509
Ta=min(0.65Tu,0.8Ty)
KDS 11 60 00 (국가건설기준센타 : 앵커 설계기준)
극한하중(Tu) = 261kN(1본일 경우)
항복하중(Ty) = 222kN(1본일 경우)
시험 중 긴장하중(Tj)=0.9Ty